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근로장려금 최대금액 받는 사람의 소득은 얼마?

by 쓸소정 2024. 4. 29.
반응형
SMALL

기억하시겠지만, 5월은 근로장려금 신청의 달입니다.

근로장려금의 최대치는 얼마?

단독가구의 경우 165만원입니다.

단독가구는 독립하여 부모님과 함께 살지 않는, 주민등록등본을 떼면 혼자 있는 세대를 말합니다.

부부이지만 홑벌이가구는 285만원이에요.

부부 중 한 사람만 소득신고가 되는 세대를 가리킵니다.

맞벌이부부는 330만원입니다.

부부 두 사람 모두 직장을 다니든 사업을 하든 전년도 소득신고를 한 경우입니다.

근로장려금을 최대로 받는 사람의 소득은 얼마일까요?

https://tewf.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wf/l/a/a/UTEWFLAA05.xml

[국세청 홈택스

tewf.hometax.go.kr](https://tewf.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wf/l/a/a/UTEWFLAA05.xml)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근로장려금 산정표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에서 다운로드하시면 전체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한글문서라서 뷰어가 있으셔야되요.

산정표가 길어서 복잡하다 싶으실 수 있어요. 무려 10페이지나 되거든요.

그 중에서 근로장려금 최대치 나온 부분만 압축하면 이렇습니다.

혼자 사는 세대라면 전년도 소득이 390만원에서 910만원 사이라면 165만원을 받게 되시는 거에요.

부부이지만 나 혼자 버는 경우라면 690만원에서 1,410만원 사이의 소득일 때 285만원을 받게 됩니다.

맞벌이라도 소득이 많지 않을수도 있어요.

790만원에서 1,710만원 사이라면 330만원을 받습니다.

맞벌이가 되려면 두 사람 모두 각자 300만원 이상의 소득이 있어야해요.

한 사람이 300만원 이하라면 홑벌이 가구가 됩니다.

이 내용을 좀더 상세히 보고 싶으시다면 산정표를 그대로 보시면 됩니다.

아래의 표는 최대치 부분만 추출한 내용입니다.

작년에는 주더니 올해는 왜 안나오지? 싶으시다면 산정표를 확인하세요.

소득이 산정표 범위 안에 있지 않은 겁니다.

소득이 너무너무 적거나 은근히 많거나~~

반응형
LIST